리뷰/끄적끄적 이야기

어디에서나 당당하게 사용하는 비자체크카드, 똑똑한 경제습관의 첫걸음

재택알바 꿈나무 2011. 3. 30. 11:30

어릴때부터 경제습관을 길러 주는 것이 참 좋다고들 하죠

그런데, 전 시골에서 자라서 그런지 몰라도 그런 경제 습관이라는 것은 전혀 몰랐어요

제가 아는 알뜰한 경제 습관은  그냥 무조건 아낀다는것 밖에

그런데 우연히 알게된 체크카드 덕분에 요즘은 그래도 조금은 경제습관이 길러졌다고나 할까

체크카드의 효과가 커요

주변 사람들 보면  한도 정해놓고  그 한도 내에서 마음껏 사용하는 신용카드를 많이들 이용하더라구요

그래서 무조건 긁고 보죠...

저도 처음엔 카드면 다 그런줄 알았었는데, 카드라는 것을 모를땐 그랬는데

알고보니 그게 아니던데요

신용카드는 처음 사용할때는 몰라도, 나중 말일이 되면 청구서가 휙휙 날라오고, 카드값 내느라 정신이 없더라구요

그거면 다행이게요, 이 신용카드라는 것은 결제시 수수료도 붙고, 이자도 만만치가 않더라구요

또한 연회비라는 것도 내던데

하지만 체크카드는 수수료도 없고, 연회비도 없고

너무너무 좋아요

 

 

즉, 요 비자체크카드 이것은 말입니다 한마디로 참 똑똑한 카드라고 생각하시면 되요

 

 

우선, 내가 미리 개설한 통장에서 결제 금액이 빠져 나가기 때문에, 좀더 현명하게, 끄리고 똑똑하게 과소비 없게 소비를 할수 있는 경제적인 카드랍니다

굳이 필요하지 않는 물건은 사지 않아도 되고, 나의 통장 한도에서 사용하기에 빚을 질 이유도 없고, 지름신 때문에  무조건 질러대는 카드값을 따로 값지 않아도 되고

그렇다고 안심하고 무조건 긁지는 마세요. 절대로 과소비는 안되요

 

또한, 신용카드는 이자에 수수료까지 장난이 아니지만, 체크카드는 내 통장에서 나가 수수료는 면제죠

위에서 언급한것 처럼, 연회비도 물론 없어요

전국의 비자카드 가맹점에서는 언제 어디서나 결제가 가능하다는 점도 아울러 알려드리죠

요즘 비자카드 안되는 곳 거의 없잖아요

물론 온라인과 해외에서도 마찬가지고

그리고, 해외에서 돈이 없어 발만 동동 구른적 있죠. 그런다고 돈이 생기는 것도 아니고

그런 분들을 위한 희소식, 해외에서도 현금인출기로 바로바로 현금을 인출하수도 있고

 

 

 

 

 

 

그리고, 가장 중요한점, 바로 다양한 혜택들이 주어진다는 것 잊으면 안되죠

영화를 즐겨보는 이들이라면,친구들, 연인들 시간 보낼려고 극장들 가시죠

CGV에서 요 비자체크카드 결제시 탄산 음료가 무료 업그레이드 된답니다

영화보면서 음료 마시는것은 당연한데, 하지만 영화값이 비싸서 음료는 안마시는 편인데

이런 혜택이 있으니, 음료값도 줄일수 있고 ㅋㅋ

 

젊은이들이 자주 찾는 외식업체 버거킹, 사실 전 이런 곳은 잘 다니지 않는 편이지만, 그래도 제 주위에 보면 자주 가는 친구들이 많더라구요. 전 그런 음식들이 잘 안맞는것 같아서 그렇지만, 이곳을 즐기는 그런 사람들에게 드리는 희소식

버거킹에서 비자체크카드로 결제시, 후렌치 후라이, 탄산음료가 무료 업그레이드 된다는 정보

그리고 또하나, 리브로에서 결제시 10%할인혜택

리브로가 뭐하는 곳이더라

나도 잘 모르지만

와우 요즘처럼 어려운시대, 10%가 어디야, 그런 생각안드세요

솔직히 10%가 얼마 되겠어 하는 분들도 있겠지만, 전 절대로 그런 생각이 안드네요

티끌모아 태산... 제가 좋아하는 속담인인데

이마트와 홈플러스등 대형 유통점이 참 주위에 많죠, 이런 곳에서도 쿠폰없이도 5~15% 자동 할인혜택이 주어진다고 하네요

 

 

 

면세점에서도 할인이 이루어 진다고 하네요

 

 

 

뭐니뭐니 해도 가장중요한것 ,바로 소득공제

연말인면 직장인들 소득공제 하느라 정신없죠, 한푼이라도 좀더 받아볼려고

하긴 어려운 시대니 열심히 소득공제를 해야죠

그래서 신용카드를 사용하는데

비자 체크카드는 20%에서 25%로 상향 된다고 하니, 참 이 높은 소득공제율 어떻게 보면 신용카드보다 훨씬 좋겠네요

이제 비자 체크카드로 갈아타세요

 

※공제혜택

- 2009년 카드구분없이 사용해야 총 급여액의 20%를 넘으면 초과한 금액의 20%에 대한 소득공제 적용,공제한도는 연간 500만원

- 2010년 : 1) 신용카드-사용액이 총 급여액의 25%를 넘으면 초과한 금액의 20% 소득공제 적용, 공제한도는 연간 300만원

2) 체크카드 - 사용액이 총 급여액의 25%를 넘으면 초과한 금액의 25%소득공제 적용,공제한도는 연간 300만원

 

아울러, 전 휴대폰 요금도 체크카드로  자동으로 결제해요,

온라인으로 결제할때 카드 결제 하고, 제 카드 번호를 입력하면 바로바로 말일이면 카드에서 나가요

 

 

 

남들처럼 주식이나 그런 재테크는 하지 않고, 그냥 예금과 적금, 그리고 꾸준히 체크카드를 이용해요

주식하면 위험 부담도 있고 전 그렇던데

걱정이 되더라구요. 참고로 전 걱정이 많은 일은 절대 안해요

고민하면 괜히 내 머리카락만 빠지고...

어쩌면 이정도면 예전해 비해 저의 소비습관도 참 좋아진것 같아요, 경제개념도 괜찮은것 같고

가계부도 체크카드를 사용하니, 통장에서 바로바로 확인이 되니, 별다르게 적지는 않는 편이죠

정말 똑똑한 카드네요

아직도 무조건 대책없이 카드로 긁으시나요. 그럼 이제는 일일이 돈을 따로 값지 않아도 되는 비자 체크카드를 이용해보세요

지금 비자카드 홈페이지(http://www.visakorea.com/check/)에 가시면 좀도 다양한 정보가 있으니 참조하시고요